이는 조선초의 문신인 필문 이선제(1389∼1454년)의 신위(神位)를 모신 사당이다. 나라에 공훈을 세운 것을 기리어 신주를 영원히 모시도록 하는 부조지전(不 之典)으로 건립한 사당이 부조묘이다. 부조묘는 포충사 뒤쪽 산기슭에 있으나 원래의 위치에서 50여m 왼쪽으로 옮겨온 것이다. 필문은 광주 대촌(大村) 출신으로 문과(文科)에 급제한 후 세자빈객(世子賓客), 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 등을 역임하였고, 문종(文宗)때는 정인지(鄭麟趾) 등과 『高麗史』편찬에 참여 하였다. 벼슬을 그만두고 향리에 돌아와서는 후진 양성은 물론 이 고장에 향약(鄕約)을 베풀어 미풍양속(美風良俗)을 이루는데 모범이 되었다. 이곳 이외에도 강진의 수암서원 오현당(秀巖書院 五賢堂)과 죽산사(竹山祠)에 배향되었다.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1칸의 앞마루를 둔 맞배집이다. 앞마루는 반폭칸으로 개방하였으며, 툇마루를 놓았다. 공포( 包)는 쇠서 하나를 내어 가운데에 연꽃무늬를 둔 초익공(初翼工)으로 위부분에 용머리 장식을 하였고 마루의 대들보 쪽에는 구름무늬로 처리하였다. 가구(架構)는 고주(高柱) 5량형(梁形)으로 되어 있으며, 도리(道理)는 장혀(長舌)를 받친 국도리를 걸쳤다. 그리고 마루 기둥의 주심도리(柱心道理) 외기둥 위는 납도리를 사용하였고, 두심도리 장혀와 창방 사이에는 소로(小累)를 둔 원반(原盤)을 하나씩 놓았다. 막돌초석 위에 정면만 민흘림 기둥을 세우고 나머지는 사각기둥을 세웠다. 마루 밑은 호박돌 위에 동바리 기둥으로 처리하여 바람이 잘 통하도록 밑벽막이 없이 개방하였다. 문은 쌍여닫이 문으로 띠살문이며, 겹처마이다. 고설삼문(高設三門)과 양측의 맞담 위에 기와를 얹어 담을 돌렸으며, 뒤쪽은 언덕으로 둘러 싸여 있다. 부조묘의 뒷산 언덕에 필문의 묘(墓)와 묘비(墓碑)가 있으며, 이곳에서 500여m 떨어진 도로변에 그의 신도비(神道碑)가 있다. 마을 앞에는 필문이 심은 괘고정(掛鼓亭)이라 불리는 수령(樹齡) 600여년의 노거수(老巨樹)가 있어 유서 깊은 이곳의 유래를 상상하게 한다.
관리자 16-12-27 조회1138
양림산(楊林山) 동남쪽 끝부분에 있는 이 집은 원래 독립 운동가 최상현(崔相鉉)의 집이다. 800평의 부지 위에 동향으로 지었으며 정면 8칸, 측면 4칸의 매우 큰 규모의 전통가옥이다. 일자형 평면의 팔작(八作) 지붕이면서도 우측의 경사진 부지를 자연 그대로 이용하여 1퇴(退) 공간의 반지하층을 구성하여 율동감을 주었다. 좌측으로도 1퇴를 개방, 공간으로 주어 비대칭의 평면과 입면을 형성하여 단조롭지 않게 하였다.서향인 뒤쪽은 너비 60cm의 마루를 두르고 미닫이 창문을 만들어 서쪽의 빛을 일단 차단시키고 있으며, 미닫이 창문 때문에 방이 어두워지는 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벽면 윗부분에 띠판창을 두었다. 연등천장인 대청을 제외하고는 다락을 두었는데, 이곳에 독립 운동가들을 피신시켰다고 한다. 다락 외부 벽에는 완공을 두어 다락안의 채광을 돕고 있다. 기단은 우측의 반지하 부분을 제외하고는 1m 정도 높인 뒤 2단 원형 주초석을 써서 모양을 살렸다. 작은 언덕과 암벽에서 흘러내리는 석간수(石澗水)를 끌어다가 지당(池塘)을 만들어 건물의 운치를 한결 돋보이게 하고 있다.1920년대의 가옥으로 한말 전통가옥의 이행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건축사적 의의가 큰 집이다.현재는 미개방 상태이다.
관리자 16-12-27 조회1943
비낀 동서축으로 대문간, 곳간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로 배치된 상류양식의 기와집이다. 안채의 상량문에 광무 삼년을축이월십일을축시(光武 三年乙丑二月十日乙丑時)로 기록되어 있어 1899년 건축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안채가 문화재로 지정 되었다. 축조 당시의 소유자는 정병호이며 1959년 이장우가 사들였다. 안채의 평면 형태는 ㄱ자형으로 되어 있어 정면은 6칸으로 좌우에 마루(退)가 있으며, 우측면은 4칸과 뒷마루, 좌측면은 1칸과 앞뒷마루가 있다. 구조는 왼쪽부터 1퇴(退)마루, 1칸 작음 방, 3칸 대청, 2칸 큰방, 1칸 1퇴의 부엌, 그리고 ㄱ자로 꺽인 2칸의 작은 방으로 되어 있다. 안채의 면적은 36평 정도로 규모가 크다.가구(架構)는 2고주(高柱) 5량(樑)의 팔작(八作) 기와지붕이다. 세벌대의 다듬돌 기단 위에 원형 주초석을 놓고 원형기둥과 사각기둥을 세웠다. 보아지(樑泰)와 우미량(牛尾樑) 퇴보에 도리를 결합하였다. 처마는 겹처마 지붕이며, 합각(合閣)의 중앙부에는 채광창(採光窓)이 있다. 대청은 연등천정에 가로지른 대들보 위에 마루보(宗樑) 없이 원형 판자공으로 종도리(宗道里)를 받치게 하였다.온동 방문은 2분합 겹문으로 안은 미닫이, 밖은 여닫이문을 설치하였으며, 대청의 문은 4분합 들어열개문으로 되어 있다. 여닫이문을 고정시키기 위해 중방에 문잡이 거북장식물을 두었으며 들어열개문을 고정하기 위해서 참새 모양의 장식물을 장혀(長舌)에 두고 있다.
관리자 16-12-27 조회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