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관덕정은 1961년 7월 2일 준공되었으며 한국 전통 기예인 국궁장으로 광주활터의 중심이 되어 온 곳이다.관덕정은 사직공원을 바라보는 남향의 건물로 사장은 남북으로 길게 위치한다. 건물구조는 1960년대초 다른 사장에서 볼 수 없는 철큰콘크리트 구조로 되어 있다. 정면의 처마를 들어올려 곡면을 이루고 있는 점이 특징이며, 처마부위의 서까래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로 형상화하고 있으며 처마의 아래 공간이 사대가 된다.15세기부터 존재하던 사장이 광주 도심치, 천변, 광주공원 등의 여러 곳으로 옮겨지다가 현재의 사직공원 야산으로 이전, 신축되었다. 준공 이후 건물은 전국대회 및 체전이 3차례 광주광역시에서 열렸는데 관련 종목 경기가 관덕정에서 있었고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좌우측 및 배면 확장, 창호 교체 등의 수리가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건물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관리자 22-02-11 조회199
1927년 건립된 이 건물은 윈스브로우(Winsborough) 여사가 받은 생일 헌금으로, 건축을 전공한 남장로회 서로득(Swinehart) 선교사가 건축하였다. 좌우 대칭의 중복도형으로 정면 출입구에 설치한 아담한 돌출 현관인 포치가 인상적이다. 이 돌출 현관 위 삼각형의 박공지붕과 이를 받치는 투스칸 오더(Tuscan Order)의 원형 기둥은 다른 학교 건물에서는 볼 수 없는 독특한 것이다.
관리자 16-12-27 조회1891
수피아여학교는 광주지방 최초의 여성교육의 요람이자 광주지방 개신교 선교의 근거지로 교육사적, 종교사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근대기 한미교류의 흔적으로 한미교류사적 가치도 인정된다.커티스메모리얼홀은 수피아여학교를 설비한 배유지 신부를 기념하기 위하여 건립한 건물로 벨기념관이라고도 부르고 있음. 경사지를 이용한 평면계획, 적설을 고려한 급경사 지붕형태, 주변경관을 최대한 이용한 배치계획, 검소하면소도 부족함이 없는 의장 등 규모는 작지만 변화가 풍부하고 건축수법이 우수한 건물이다.
관리자 16-12-27 조회1387
수피아여학교는 광주지방 최초의 여성교육의 요람이자 광주지방 개신교 선교의 근거지로 교육사적, 종교사적으로 가치가 있으며, 근대기 한미교류의 흔적으로 한미교류사적 가치도 인정된다.미국 스턴스(Mrs. M.L.Sterns) 여사가 세상을 떠난 친정동생(Jannie Speer)을 기념하기 위하여 5,000불을 기증하였는데, 이 돈으로 양림동 251번지에 회색벽돌 3층 교사를 짓고 수피아홀(Speer Hall) 이라고 명명하였다. 이때부터 학교이름도 수피아여학교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수피아 홀은 다양한 기능을 수용하면서도 건물배치 및 평면계획이 매우 실용적이고, 기념성이 강조되어 뛰어난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관리자 16-12-27 조회1398